이부(吏部)
고려시대 상서육부(尙書六部) 가운데 하나로, 문관(文官)의 인사와 훈봉 등의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관청. # 개설
직제상으로는 상서성에 속하나 중서문하성의 총재(冢宰)가 판이부사(判吏部事)를 겸하도록 되어 있어 상서성이나 중서문하성을 거치지 않고 직접 국왕과 연결되는 행정체계를 이루었다.
# 변천과 현황
982년(성종 1) 어사육관(御史六官)이 갖추어지면서 선관(選官)으로 설치되었다가, 995년 상서이부로 개편되었다. 문종 때 관제를 정비해 판사 1인, 상서(정3품) 1인, 지부사(知部事) 1인, 시랑(정4품) 1인, 낭중( ...